해양바이오 경쟁 치열한데…한국은 뒷걸음질 – 한국경제

해양바이오 경쟁 치열한데…한국은 뒷걸음질  한국경제

“외국에서 열리는 해양바이오 콘퍼런스에 가면 중국 연구자가 수백 명은 옵니다. 하지만 한국은 전문 연구자가 열 명 남짓밖에 안 될 정도로 이 분야에서 뒤처져 있습니다.” 국내 해양바이오 분야 권위자인 김세권 한국해양대 석좌교수의 말이다. 해양바이오자원의 잠재적 시장가치는 26조달러로 추정된다. 지구 표면의 75%를 차지하는 바다에는 지구 생물종의 80%인 30만 종이 있다. 그러나 제품화에 성공한 것은 1%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미국 등 일부 국가가 앞서가고 있지만 아직 ‘절대 강자’가 없다”며 “지금부터라도 해양바이오산업을 적극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양바이오에서 금맥 캔다 해양바이오 원료는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에 많이 쓰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정하는 해양 유래 기능성 원료(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원료)는 클로렐라, 스피룰리나 등 20여 종이다. 화장품에는 갈조, 다시마, 우뭇가사리, 감태 등 65종의 기능성 소재가 활용된다. 한국콜마는 2016년 3월부터 지난해까지 김 교수의 연구 및 저술 활동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한 일부 원료로 화장품을 출시했다. 한국콜마와 원자력연구원이 공동 설립한 콜마비앤에이치는 전남 완도에 있는 …

해양바이오 경쟁 치열한데…한국은 뒷걸음질 – 한국경제

해양바이오 경쟁 치열한데…한국은 뒷걸음질  한국경제

“외국에서 열리는 해양바이오 콘퍼런스에 가면 중국 연구자가 수백 명은 옵니다. 하지만 한국은 전문 연구자가 열 명 남짓밖에 안 될 정도로 이 분야에서 뒤처져 있습니다.” 국내 해양바이오 분야 권위자인 김세권 한국해양대 석좌교수의 말이다. 해양바이오자원의 잠재적 시장가치는 26조달러로 추정된다. 지구 표면의 75%를 차지하는 바다에는 지구 생물종의 80%인 30만 종이 있다. 그러나 제품화에 성공한 것은 1%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미국 등 일부 국가가 앞서가고 있지만 아직 ‘절대 강자’가 없다”며 “지금부터라도 해양바이오산업을 적극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양바이오에서 금맥 캔다 해양바이오 원료는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에 많이 쓰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정하는 해양 유래 기능성 원료(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원료)는 클로렐라, 스피룰리나 등 20여 종이다. 화장품에는 갈조, 다시마, 우뭇가사리, 감태 등 65종의 기능성 소재가 활용된다. 한국콜마는 2016년 3월부터 지난해까지 김 교수의 연구 및 저술 활동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한 일부 원료로 화장품을 출시했다. 한국콜마와 원자력연구원이 공동 설립한 콜마비앤에이치는 전남 완도에 있는 …

LS, 초전도케이블·스마트에너지로 신시장 개척 – 한국경제

LS, 초전도케이블·스마트에너지로 신시장 개척  한국경제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지난해 11월 미국 전선회사 슈페리어에식스(SPSX)가 유럽 권선(자동차, 변압기, 모터 등 전자장치에 감는 피복 구리선)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설립한 생산법인 준공식에 참석했다. SPSX는 1850만유로(약 250억원)를 투자해 권선 생산법인을 준공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만2000t 규모의 42개 권선 생산라인을 확보했으며 올해부터 유럽의 자동차, 전자 부품 업체에 공급할 권선을 본격 양산할 계획이다. LS의 주요 계열사는 올해 해외사업 수준을 한층 업그레이드하고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통해 세계 1등 기업들과 경쟁해나갈 계획이다. LS전선은 최초로 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 국산화에 성공해 2013년 덴마크 전력청의 HVDC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에 처음으로 수출했다. 2016년에는 국내 최초의 육상 HVDC 케이블 사업(북당진~고덕 연결) 공급권을 따냈다. 지난 4월에는 강원 동해시에 약 4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연내 제2공장을 착공해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초고압직류송전 케이블 등 초고압 케이블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LS산전은 전력과 자동화 분야에서 확보한 기술력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